mmayng story ♩/건강 story ♩

반월상연골판파열 :: 무릎연골수술 # 관절내시경 수술 ː 관절경수술잘하는곳 웰튼병원

미향언니네 2016. 12. 23. 14:55

 

 

 

 

 

 


 






​반월상연골판파열 ?








관절경수술잘하는곳





반월상연골판파열 치료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 무릎연골수술 , 관절내시경 수술 ,

관절경수술잘하는곳 ,

반월상연골판파열 , 무릎통증 , 무릎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반월상연골판파열 시 치료방법 / 수술시기





 






​무릎의 흔한 통증의 원인 중 하나가 무릎에 충격 흡수를 담당하는

무릎사이의 구조물중에 하나인 반월상연골판의 손상인데

반월상연골판은 C자 형태의  반달모양을 하고 있어


반월상 연골판이라고 불리며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 내측과 외측에


각각 두군데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반월상연골판은 직립보행시 무릎관절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켜주고


연골의 영양공급을 도와주며 고관절 전체에


활액이 잘 분산되도록


윤활기능을 촉진하며 , 관절의 안정성에도 한 역할을 담당하며


특히 회전시 안정성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반월상 연골판은 혈관 분포에 따라 크게 3개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그 부분의 손상정도에 따라 봉합을 하거나 절제를 하거나


결정을 하게 됩니다.






 



 





반월상연골판파열 시 치료방법







반월상연골판 손상시 관절경을 이용한 

관절내시경수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관절경 수술은 무릎에 한 1CM이하의 부분을 2개정도 절개하여


소형 카메라역할을 하는 관절경과 작은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수술하는 방법입니다.





 







 

수술 집도의는 소형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니터로 무릎내부를 관찰하면서 특수하게 제작된 수술기구를 집어 넣어


수술을 시행하게 되며

과거 무릎을 크게 절개하여 했던 수술에 비해 기간이 단축되면서


환자의 회복도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월상연골판파열시 수술법에는 

봉합술과 절제술로 나눌수 있는데


파열된 부분의 크기가 크고 (1~2CM) 연골판의 치유를 위해 충

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파열이 있는경우는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을 시행합니다.




 






반월상연골판파열 시 수술시기




손상일때는 거친면만 다듬고 ,

파열일때는 파열위치 ,


방향에 따라 수술여부가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수술후 6개월 이상은 꾸준한 재활운동 및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반월상 연골판이 얇아지거나 거칠어지거나 찢어지거나 했을때

흔히들 이를 퇴행성관절염이라 통칭하여 부르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반월상 연골판이

거칠어진 표면을 다듬거나 봉합하며 ,


손상이 더 심한경우에는 타인의 연골판을 이식하거나


자기 연골세포를 배양하여 주입하는 등의 방법이 있으나


보통 40세 이상시에는 혈액공급이 가능한 부분의 연골판이더라도

재생이 거의 어려우므로 반월상연골판 손상된 부분을


절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반월상 연골판은 한번 손상되면 재생이 힘들기 때문에

연골판이 손상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보호하는 방법이 최선의 방법이며


이를 위해서는 하지정렬이 잘 유지될 수 있도록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무릎연골에 부담이 되는


쪼그려 앉는 자세 및 무릎에 충격이 가해지는 운동은

삼가는 것이 좋으며 , 평소 무릎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